1. 앉은자리에서 고린도전서 전체를 한 번이나 3번까지 읽음 (3번 읽음)
2. 임시 개요 작성 (Tentative Outline)
(읽고 난 후 대략적인 개요 작성. 각 장별 분석을 마친 후 요약하며 Summary에서 온전한 개요가 작성될 예정입니다. 아래는 세 번 읽고 난 후 대략적으로 스스로 작성한 개요입니다.)
바울의 권면
I. 권면의 기초 (1 - 4장)
A. 십자가의 도 (1장)
B. 성령 (2장)
C. 양육자 (3장)
D. 하나님의 일꾼 (4장)
II. 권면의 실제 (5 - 16장)
A. 아버지의 아내를 취한 자를 내치라 (5장)
B. 성도들끼리 세상 법정에서 다투는 일 (6:1-11)
C. 하나님의 성전인 몸을 거룩하게 하고 음행을 피함 (6:12-20)
D. 결혼 (7:1-40)
1. 남편과 아내의 의무 (7:1-24)
2. 결혼하지 않은 자매의 결혼 문제와 헌신 (7:25-40)
F. 우상 제물을 먹는 문제 (8:1-13)
G. 바울을 반대하는 사람들에 대한 답변: 바울의 부르심과 훈련 (9:1-27)
H. 죄에 대한 경계와 해결 원리 (10:1-33)
1. 대표적인 죄: 우상숭배, 간음, 주를 시험, 교만, 우상제물 (10:1-22)
2. 남의 유익을 위해 덕을 세우고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함 (10:23-33)
I. 여자가 머리에 쓰는 문제 (11:1-16)
J. 성찬 (11:17-34)
K. 성령의 은사와 몸의 비유 (12:1-31)
1. 성령의 은사 (12:1-11)
2. 몸의 비유를 통해 본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의 은사 (12:12-31)
L. 사랑 (13:1-13)
M. 은사의 질서 있는 사용: 예언과 방언 (14:1-40)
N. 부활 (15:1-58)
O. 헌금 (16:1-4)
III. 바울의 일정과 끝인사 (16:5-24)
A. 바울의 일정 (5-9)
1. 마게도냐를 지난 후 방문할 수도 있음 (5-6)
2. 현재는 에베소에 머물 계획 (7-9)
B. 바울의 동역자들에 대한 부탁과 끝인사 (10-24)
1. 디모데를 영접하라 (10-11)
2. 아볼로에게 방문을 권하지만 아직은 뜻이 없음 (12)
3. 강건하고 사랑하라 (13, 14)
4. 스데바나, 브드나도, 아가이고, 아굴라, 브리스가를 알아주고 문안하라 (15-20)
5. 바울의 마지막 인사 (21-24)
3. 책의 역사적 배경 (Historical Background)
저자 (누가 썼나?)
바울
수신자 (누구에게 썼나?)
고린도교회
시기 (언제 기록했나?)
16장에서 바울이 현재 어디에 있고 어떠한 계획인지 알 수 있다.
바울은 에베소에 더 머물려 하고 있다. 그리고 예루살렘으로 재정적인 지원을 하기 위해 떠날 계획을 밝히고 있다. (16:3)
바울의 제 3차 선교 여행 중 에베소에 머물렀던 시기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일정을 볼 때 약 3년 에베소에서 머문 기간 중 후반부임을 알 수 있다. 그러면 AD 55년 경으로 볼 수 있다.
기록 장소 (어디에서 썼나?)
에베소
고린도전서 16장에서 에베소에 더 머물려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목적 (왜 고린도전서를 썼나?)
고린도전서를 읽을 때 그 어떤 다른 신약 성경의 서신서보다 섬세하게 권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이 올바르지 못하게 행동하는 여러 문제에 대해 권하면서 섬세하게 권한다.
분쟁, 교회 안에서의 성적 부도덕, 교만, 우상제물, 머리에 쓰는 문제, 결혼, 부활, 은사의 질서 있는 사용 등 바로 잡아주어야 할 많은 내용이 있었다.
고린도교인들이 이 권면을 들을 때 올바로 잘 받아야 했기 때문에 바울은 이러한 권면이 자신에게서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주시는 권위로 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바울은 초반부에 바울의 이러한 권면을 위한 여러 기초를 이야기 하고 있다.
십자가의 도에 대해서 언급한다.
우리가 받은 성령에 대해서, 자신이 하나님과 함께 일하는 일꾼으로 양육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바울이 하나님의 일꾼으로 어떠한 삶을 살고 있는지 증명하고 영적 아버지임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위에 언급한 여러 주제에 대해 말씀에 기초하여 권하고 있다.
4. 주요 주제와 하이라이트 (Major Themes and Highlights)
각 장을 읽어보며 주요 주제에 대해 정리해본다.
고린도전서는 바울의 권면을 주로 다루고 있다. 체계적인 주제별 성경공부처럼 다루는 주제가 포괄적이고 다양하다.
십자가 (구원)
거룩함 (생활)
Character (사랑)
죄 (생활)
부활 (교리, 확신)
은사
헌신, 결혼, 하나님의 뜻 (가정)
복음
영적 훈련, 리더를 섬김
죄에 대한 경계 - 교만, 음행, 우상 숭배, 주를 시험, 덕을 세움
교회 - 머리에 쓰는 문제, 성찬
고린도전서의 주제를 모아보면 네비게이토 선교회의 출판부에서 발행하는 그리스도인의 생활 연구 시리즈 (SCL)처럼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각각의 주제들은 성경공부 주제가 될 수 있을 정도이다. 이렇게 다양한 영적 필요에 대해 바울은 교훈하고 있다.
그들이 진리 안에서 잘 확립되어 올바로 성장하기를 원하는 바울의 마음을 볼 수 있다.
고린도전서에 13장 바로 사랑장이 들어가 있다. 이 모든 것을 사랑에 근거하여 하고 있다.
Established, 확립. 진리 안에서 확립되는 것이 고린도전서의 주요 주제임을 생각해 볼 수 있다.
5. 핵심어 (Key Words)
십자가의 도, 성령, 그리스도의 일꾼, 상, 부활, 사랑, 시험, 성찬, 덕, 하나님의 영광, 본, 은사, 예언, 방언, 연보(헌금)
6. 핵심 구절 (Key Verse)
고린도전서 4:15
그리스도 안에서 일만 스승이 있으되 아비는 많지 아니하니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복음으로써 내가 너희를 낳았음이라
7. 적용 (Application)
(다시 한 번 고린도전서 전체를 다 읽고 적용할 내용을 찾아봅니다.)
고린도전서는 바울이 마지막 문장에서 '나의 사랑'이라는 표현을 쓴 유일한 서신서이다. 로마서부터 빌레몬서까지 바울의 서신서 13권 중 유일하다.
대부분 '은혜'가 편지를 끝내는 마지막 핵심어이다.
그리고 은혜도 '주의' 은혜이다. 그런데 고린도전서에서는 '나의' 사랑이라는 표현을 쓰면서 편지를 끝내고 있다.
바울은 이렇게 고린도교인들이 자신의 사랑을 알아주기를 원했던 것 같다.
우리는 때로 잘못된 것을 잡아주어야 할 때가 있다. 혹 아직 부족한 확신에 대해 굳어지도록 도와야 할 필요도 있다.
이렇게 새롭게 세워주는 일을 할 때 어린 형제, 자매들이 확신해야할 것은 인도자의 사랑이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가지고 있는 사랑으로 권면함을 알아야 한다.
"나의 사랑이 그리스도 예수의 안에서 너희 무리와 함께 할찌어다." (고린도전서 16:24)
바울은 자신이 그들의 영적 아비임을 그들이 알기를 원했다. (고린도전서 4:15)
그리고 영적인 부모로서 그들을 권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사랑을 배워야 한다.
문제를 다루고 세워주는 데 있어서 이러한 사랑을 확신하는 것 만큼 중요한 것도 없다.
나는 영적 부모의 마음을 배워야 한다. (고린도전서 2:16) 그리스도의 마음이다.
최근 경건의 시간을 통해 다윗의 간절한 태도를 배우게 된다. 다윗과 나의 차이점은 이러한 간절함이라고 생각이 되었다. 간절한 태도로 하나님의 도움을 청하는 기도이다.
간절히 부르짖는 기도이다.
이번 고린도전서를 전체적으로 개관하면서도 간절히 기도하는 것이 필요함을 배우게 되었다.
영적인 부모(고린도전서 4:15)로서의 책임감을 가지고 한 사람 한 사람을 위해 기도하는 것이다.
그러할 때 올바로 사람들이 세워(established)질 수 있다.
개인 교제 전 1-2 시간 기도하기
'하나님의 말씀 > 각 성경 책별 공부(신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린도전서 1장 - 네비게이토 ABC 성경공부 (1 Corinthians 1, ABC Bible Study) (0) | 2025.04.04 |
---|---|
베드로전서 요약 - 1 Peter Summary 네비게이토 책별 성경공부 (Comprehensive Book Analysis) (1) | 2025.03.23 |
베드로전서: 고난 중에 복음에 기초한 E1(전도), E2(확립), E3(무장) (0) | 2025.03.21 |
베드로전서 5장 - 네비게이토 책별 성경공부 (1 Peter 5, Comprehensive Book Analysis) (0) | 2025.03.12 |
베드로전서 4장 - 네비게이토 책별 성경공부 (1 Peter 4, Comprehensive Book Analysis) (0)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