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말씀/각 성경 책별 공부(신약)

고린도전서 9장 - 네비게이토 ABC 성경공부 (1 Corinthians 9, the ABC Bible Study)

LoveGod 2025. 6. 20. 05:58

Book: 고린도전서
Study Passage: 고린도전서 9장

 

A title (제목)

 

사도로서의 권위를 다 쓰지 않고 섬긴 바울

 

Basic Passage (중심 구절)

 
고린도전서 9:1
내가 자유자가 아니냐 사도가 아니냐 예수 우리 주를 보지 못하였느냐 주 안에서 행한 나의 일이 너희가 아니냐

 

고린도전서 9장은 바울이 자신의 사도로서의 권리를 주장하며 어떤 삶을 살고 있는지 잘 알 수 있는 부분이므로 이 구절을 중심구절로 선택했다. 
 

Challenge (도전, 적용)

 

Verse of the Challenge (도전이 되는 구절) : 고린도전서 9장 27절

 
내가 내 몸을 쳐 복종하게 함은 내가 남에게 전파한 후에 자기가 도리어 버림이 될까 두려워함이로라
 

Truth of the Challenge (도전이 되는 진리) 

 

바울은 자신을 쳐 복종시키는 엄격한 훈련 중이었다. 자질을 유지하기 위함이었다. 
 

Personal Application of the Challenge (도전에 대한 개인적인 적용)


바울이 고린도전서를 쓴 시기는 3차 선교 여행 중 에베소에서 머물던 후반부이다. AD 55년 경이다. 에베소에서는 두란노 서원에서 제자를 따로 세워 가르쳤고 온 아시아(소아시아, 지금의 터키 지역)가 다 주의 말씀을 들었을 정도로 사역이 왕성했다. 

 

바울의 나이도 50세 경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사역적으로 크게 성공을 거두고 많은 일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바울은 여전히 자신을 강하게 훈련하고 있었다. 

 

자기가 버림이 되지 않기 위함이었다. 성장에는 한계가 없다. 

 

요즘 훈련해야할 영역은 새벽 일찍 암송, 성경공부, 성경읽기 등을 완료하고 기도에 집중하는 삶이다. 삶이 되도록

 

Difficulties (어려운 점)

 

Verses
(구절)
Difficulties (어려운 점, 질문)
3절 '힐문하다'의 뜻은?

영어로는 to those who sit in judgment on me. 즉 '나를 판단하려고 앉아 있는 자들에게'로 번역될 수 있다. 
3절 발명하다의 뜻은? 

영어로는 'my defense' 즉 자신을 비판하는 자들에게 '답변하며 변호한다'는 의미이다. 
4절 '먹고 마시는 권'은 무슨 의미인가? 

영어 번역을 참고해보면 성도들이 바울을 초청해 집에서 함께 먹고 마시는 내용임을 알 수 있다. 

현대식으로 번역한 Message 영어 성경에서는 decent accomodation (단정하고 좋은 숙소)이라고 되어 있다. 

바울에게 숙식을 제공하고 고린도 등에 머무는 동안 먹을 것과 마실 것을 제공해주는 것을 의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누가복음 10:7절에서 예수님께서 전도자가 한 집에 유하며 '먹고 마시라'고 말씀하셨다. 이 부분을 염두에 두고 바울이 이야기하고 있고 고린도선서 9장 이 부분의 전후 문맥은 누가복음 10:7절을 참고하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5절 '자매된 아내를 데리고 다닐 권'은 정확히 무슨 의미인가? 

메시지 영어 성경에서는 이 부분을 '...and we have a right to support us and our families.'라고 풀어썼다. 

이 부분은 개역 한글이나 다른 대부분의 영어 성경에서 문자적으로 아내를 데리고 다니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고 메시지 영어 성경에서는 사도들의 경제적 필요가 사역을 하면서 채워지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것으로 참고가 된다.  
6절 '어찌 나와 바나바만 일하지 아니할 권이 없겠느냐?'는 영어 성경에는 어떻게 번역이 되어 있는가? 

Or is it only Barnabas and I who have no right to refrain from working for a living? (ESV)
생겨를 위해 일하는 것으로 부터 삼갈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이 나와 바나바일 뿐입니까? 

Or is it only Barnabas and I who have to work to support ourselves? (NLT) 
우리 자신을 부양(생계)하기 위해 일해야 하는 사람이 나와 바나바 뿐이겠습니까? 
11절 '육신의 것을 거두기로'에서 '육신의 것'이라는 의미는 무엇인가? 

영어로는 'material things' (NIV, ESV, NASB), '물질적인 것' 혹은 'a meal or two from you'(Message), 여러분으로 부터 한 두끼 식사, 혹은 'to a harvest of physical food and drink' (NLT), '신체적인 (필요를 위한) 음식이나 음료를 거두는 것'이라고 되어 있다.  
14절 예수님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신 것이 복음서에 있나? 

누가복음 10:7에서 제자들을 전도하러 보내실 때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그 집에 유하며 주는 것을 '먹고 마시라' 일꾼이 그 삯을 얻는 것이 마땅하니라."

바울은 3절에서 '먹고 마시는' 권이 없겠느냐고 하였다. 예수님께서 일꾼(복음 전하는 자)들이 그 삯을 얻는 것이 마땅하다고 하셨다. 

복음을 전하는 자들은 복음을 전하는 것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말씀이시다. 
23절 '내가 복음을 위하여 모든 것을 행함은 복음에 참예하고자 함이라.'는 의미가 정확히 무엇인가? 

이 부분을 참고하기 위하여 몇 가지 영어 성경을 살펴 본다. 

I do all this for the sake of the gospel, that I may share in its blessings. (NIV)
나는 복음을 위해 이 모든 것을 합니다. 나는 복음의 축복 안에서 (몫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that I may share with them in its blessings. (ESV)
'복음에 참예하고자' -> 복음의 축복 안에서 그들과 나누기 위해

so that I may become a fellow partaker of it. (NASB) 
복음에 함께 참여하여 누리는 사람이 되기 위해

헬라어 원어: 복음에 참예하는 자
sugkoinonos: 1. participant with others in anything, joint partner. (어떤 것에서 다른 사람과 함게 참여하는 자, 함께 뛰는 사람)

sun : with (함께) 
koinonos: 1. a partner, associate, comrade, companion (파트너, 관련자, 동료)
2.  a partner, sharer in anything. (어떤 것을 같이 나누는 파트너)  a. of the altar in Jerusalem on which the sacrifices are offered (제물이 바쳐지는 예루살렘에 있는 제단에서 나누는 사람)

이 헬라어 단어는 바울이 고린도전서 9장 초반부에서 이야기하는 내용과도 연관되어있다는 것이 흥미롭다. 

제단에서 일하는 사람은 제단에서 나오는 것을 함께 먹을 수 있다. (사역자의 권리)

원어를 참고해볼 때 '복음에 참예하고자 한다'는 의미는 복음이 우리에게 줄 수 있는 모든 복에 우리가 함께 공동 파트너로 참여한다는 의미이다. 

비유적으로 복음의 동료가 되는 것이다. 복음이 가져다주는 모든 축복을 누리는 동료. 
25절 '절제하나니'의 뜻은?

절제한다는 단어를 영어 성경에서는 대부분 다음과 같이 번역했다. 

goes into a strict training (NIV, 험한, 혹독한 훈련에 들어가다)
train hard (Message. 열심히 훈련한다.)
exercises self-control in all things (ESV, NASB, 모든 일에 있어서 절제를 훈련/연습한다)

 

Essence (핵심 내용 - 요약, 개요, 혹은 요약식 개요)

요약식 개요

 

사도로서의 권위를 다 쓰지 않고 섬긴 바울

(고린도전서 9장)

 

 

I. 복음을 전할 때 권리를 다 쓰지 않고 섬김 (1-18절)

 

나는 자유자, 사도로 주님을 보았고 여러분을 도왔습니다. 여러분은 나의 사도 됨의 증거가 됩니다. 나를 비판하는 자들에게 말합니다. 

 

우리가 (함께 교제하며) 먹고 마시는 권리가 없나요? 우리가 다른 사도들처럼 자매를 데리고 다닐 권리가 없나요? 나와 바나바는 생계를 위해 반드시 일을 해야 합니까? 

 

군인, 포도원 주인, 목축업자들은 수고의 대가를 취합니다. 율법도 말하고 있습니다. 곡식을 밟아 떠는 소에게 망을 씌우지 말라 하셨습니다. 이는 소망을 가지고 사역하는 우리를 위한 내용입니다. 

 

우리가 신령한 것을 뿌리고 물질적인 것을 거둘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권리가 있으나 복음 때문에 참고 있습니다. 

 

성전과 제단을 섬기는 자들은 거기에서 나는 것을 먹습니다. 주님께서도 복음 전하는 자들은 복음으로 말미암아 산다고 명하셨습니다. 

 

나는 이러한 권리를 쓰겠다는 것이 아닙니다. 

 

복음을 전하는 것은 나의 의무입니다. 자원함에 상이 있으나 먼저는 직분을 맡았습니다. 

 

나의 상은 복음을 전할 때 값없이 전하는 것입니다. 

 

 

II. 복음에 참예하여 영혼을 얻음 (19-23절) 

 

나는 자유인이나 사람을 얻기 위해 모두의 종이 되었습니다.

 

유대인, 율법 아래 있는 자, 율법 없는 자, 약한 자들에게 여러 모양으로 그들과 같이 되어 섬긴 것은 그들을 얻고 구원하고자 함입니다. 

 

복음에 참예하는 자가 되려고 모든 것을 행합니다. 

 

 

III. 훈련에 드려짐 (24-27절) 

 

경주에서 (한 명에게 주는) 상을 얻기 위해 달리십시오.

 

영원한 면류관을 얻으려고 경쟁하는 자는 훈련(절제)합니다. 

 

목표나 방향 없이 달음질하고 주먹을 날리지 않습니다. 

 

저의 몸을 쳐 복종시키므로 자질을 유지하고 있습니다.